• 카톡상담
  • 대한중앙블로그바로가기
  • 계약분쟁해결센터
  • 유튜브
  • 전화상담 070-4012-0512

분류5

헌법소송

분류6

완료

억울한 기소유예 처분

억울한 기소유예취소 처분...

이것때문에 불이익도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요 변호사님?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마땡땡

등록일2018-05-15

조회수2,610

 

관리자

| 2018-05-15

추천하기0반대하기0댓글등록


기소유예처분을 받고 억울함을 호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정식 기소절차가 진행되어 법원에서 재판을 통해 유죄 무죄 여부를 가릴 수 있다면 무죄가
될 수 있는 사안인 경우, 검사에게 무혐의 처분을 받아야 하는 억울한 경우이거나

- 기소유예처분이 수사기록에 기록되어 해외출국, 비자 등 불이익이 발생
- 추후 민사소송에서 불리하게 작용
- 기소유예처분을 근거로 영업정지, 행정처분 등이 내려짐
- 공무원의 경우 기소유예처분으로 인해 별도로 징계받거나 해임되기도 함
- 공무원 임용 시 신원조회에서 채용에 불이익한 영향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소유예를 취소하는 방법은 헌법소원 밖에 없습니다.
기소유예 처분에 대해서는 헌법소원 외에는 피의자가 불복할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기소유예 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의 경우 다음 사항을 인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1. 청구기한 준수
기소유예처분취소를 위한 헌법소원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실을 안 날로부터 90일, 있은 날로부터 1년이라는 청구기한을 준수해야 합니다.

2. 변호사선임
헌법소원은 변호사 강제주의로 변호사 선임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변호사를 대리인으로 선임하지 않은 헌법소원심판청구는 적법절차요건의 하자로 각하됩니다.


3. 적법요건
헌법재판소에 청구되는 헌법소원이 각하되는 이유 중 첫번째는 적법요건의 하자가 있는 경우입니다.
헌법전문가인 헌법변호사가 청구인의 대리인으로서 적법한 서류제출, 의견서 작성, 절차 진행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다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전화.방문 상담으로 가능합니다.

이름 : 비밀번호 : 스팸방지코드 :
번호분류상태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524이혼상속

완료

이혼재산분할1

전전전

2017.11.28977
523기타

완료

공무원 징계1

유유유

2017.11.28778
522소년보호

완료

학교폭력위원회 재심가능여부1

노노노

2017.11.281,065
521헌법소송

완료

기소유예처분 취소 가능여부1

김○○

2017.11.2714
520헌법소송

완료

상간자소송1

최○○

2017.11.279
519헌법소송

완료

기소유예처분 헌법소원가능여부1

장장장

2017.11.271,066
518기타

완료

통신매체이용음란 혐의1

윤윤윤

2017.11.27731
517기타

완료

공무원 징계(공무원 소청심사)1

이이이

2017.11.271,128
516소년보호

완료

학교폭력 피해자 손해배상1

민민민

2017.11.27966
515소년보호

완료

보호관찰위반으로 재심리가 잡혔습니다1

이○○

2017.11.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