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톡상담
  • 대한중앙블로그바로가기
  • 계약분쟁해결센터
  • 유튜브
  • 전화상담 070-4012-0512

분류5

헌법소송

분류6

완료

헌법소원 변호사선임 관련

기간제 공무원인데 기소유예 받았습니다. 불복하려고 알아보니깐 헌법소원을 제기하려고 하는데 반드시 변호사 선임을 해야하나요 ?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방진아

등록일2018-10-10

조회수7,135

 

중앙헌법

| 2018-10-10

추천하기0반대하기0댓글등록

검사의 처분에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만 벌금형의 약식명령결정은 법원의 판결에 해당하기 때문에 헌법 소원의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헌법재판은 변호사를 대리인으로 선임해야 하고(의무), 변호사를 선임할 자력이 안되는 사람은 국선대리인의 선임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헌법재판소 관련 규정입니다.



헌법재판소법


제25조(대표자·대리인) ① 각종 심판절차에서 정부가 당사자(참가인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인 경우에는 법무부장관이 이를 대표한다.

② 각종 심판절차에서 당사자인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변호사 또는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소속 직원을 대리인으로 선임하여 심판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③ 각종 심판절차에서 당사자인 사인(私人)은 변호사를 대리인으로 선임하지 아니하면 심판청구를 하거나 심판 수행을 하지 못한다. 다만, 그가 변호사의 자격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70조(국선대리인) ①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려는 자가 변호사를 대리인으로 선임할 자력(資力)이 없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에 국선대리인을 선임하여 줄 것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69조에 따른 청구기간은 국선대리인의 선임신청이 있는 날을 기준으로 정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가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국선대리인을 선임할 수 있다.

③ 헌법재판소는 제1항의 신청이 있는 경우 또는 제2항의 경우에는 헌법재판소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변호사 중에서 국선대리인을 선정한다. 다만, 그 심판청구가 명백히 부적법하거나 이유 없는 경우 또는 권리의 남용이라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국선대리인을 선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④ 헌법재판소가 국선대리인을 선정하지 아니한다는 결정을 한 때에는 지체 없이 그 사실을 신청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신청인이 선임신청을 한 날부터 그 통지를 받은 날까지의 기간은 제69조의 청구기간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⑤ 제3항에 따라 선정된 국선대리인은 선정된 날부터 60일 이내에 제71조에 규정된 사항을 적은 심판청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하여야 한다.

⑥ 제3항에 따라 선정한 국선대리인에게는 헌법재판소규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고에서 그 보수를 지급한다.








이름 : 비밀번호 : 스팸방지코드 :
번호분류상태제목등록자등록일조회수
294기타

완료

구속수사 집행유예1

유준혁

2017.08.02690
293기타

완료

집행유예. 봉사활동1

조구일

2017.08.011,463
292계약 · 민사

완료

보호관찰 야간외출제한 기간1

한지혜

2017.08.013,280
291기타

완료

주민등록번호 관련 질문1

아○○

2017.07.3114
290소년보호

완료

청소년 보호관찰 궁금해요1

장석기

2017.07.31815
289기타

완료

집행유예 중 고소1

조형은

2017.07.311,293
288아동학대

완료

미성년자와 성인 교제 아청법 질문1

임꺼정

2017.07.2810,441
287기타

완료

어린이집 기소유예1

김지혜

2017.07.281,731
286소년보호

완료

고등학교 강제전학 사유1

요○○

2017.07.288
285소년보호

완료

형사재판 집행유예1

이순규

2017.07.27999